Fire Sci. Eng. Search

CLOSE


Fire Sci. Eng. > Volume 33(4); 2019 > Article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의 만족도가 전이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학교안전 인식의 매개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요 약

본 연구는 학교 안전관리자의 인식이 학교안전의 전이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과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학교 안전 교육 프로그램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전이의도에 가장 영향력이 있는 변수로는 내용만족도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강사만족도, 환경에 대한 만족도 순으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육방법에 대한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학교 안전교육에 대한 일반적 인식은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의 만족도와 학교안전 전이의도의 관계의 매개효과가 존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paper proposes improvement measures of a school safety education program by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cognition of school safety on the school safety transfer intention and their mediating effects. In summary, the satisfaction with the contents was represented as a variable with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transfer intention followed in order by satisfaction with the instructor and satisfaction with the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satisfaction with the teaching method was not significant. In addition, the general cognition on school safety education showed that it has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with the school administrator safety education and the school safety transfer intention.

1. 서 론

2014년 세월호 침몰 재난을 겪으면서 우리 사회는 학교안전에 대한 의식의 취약성을 절실히 느끼고, 그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안전사고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1), 국민의 안전의식은 일시적이고 단편적인 정책과 교육으로 인해 습관화되지 않고 점점 느슨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학교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안전사고와 화재 등을 예방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교직원, 그리고 학생들의 안전에 대한 의식향상과 안전생활의 습관화가 될 수 있는 환경조성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소방관련법에서는 소방안전관리자를 지정하여 그 안전관리자로 하여금 화재 등 재난발생시 초기대응체계 구성, 운영, 교육 및 소방훈련 등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최근 안전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함에 따라 교장, 교감, 행정실장 등 학교 안전관리자의 중요성과 그 역할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관리자의 안전에 대한 중요성 인식, 안전에 대한 의사소통, 신뢰관계 그리고 안전행동은 그 관리자가 속한 조직의 안전풍토, 안전절차, 안전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1], 보다 안전한 학교환경 조성을 위하여 학교 관리자에 대한 안전의식 함양과 안전교육이 요구되고 있다.
교육부 중앙교육연수원과 소방청에서는 학교관리자의 안전관리능력을 향상시키고 안전한 학교환경 조성을 목표로 학교안전에 대한 총괄책임자인 교장, 교감 및 행정실장 등을 대상으로 각종 안전사고 및 화재예방에 대한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2015년 3회 시범교육을 실시하였으며, 2016년부터 중앙소방학교 및 중앙119구조단을 비롯 전국 각 지방소방학교에서 약 4,200여명을 대상으로 확대 시행하였고, 본격 시행 2년차인 2017년에 동일한 과정을 진행하면서 그동안 교육과정에 대한 설문조사 차원의 분석은 있었으나, 실증적인 자료를 통한 교육과정의 효과성에 대한 검증연구는 아직 시행되지 않고 있다.
Choi [2]가 관리자의 지원 행동을 통해서 구성원의 행동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듯이 학교관리자의 안전관리 능력 향상이 안전한 학교환경 조성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다. 즉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이 관리자의 교육훈련 전이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교육훈련 전이를 평가하는 실제적 상황에서 교육훈련 전이의 구체적인 측정 방법에는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현실적 통제가 매우 어렵다고 할 수 있다[3].
Foxon [4], Clemenz [5], Machin과 Fogarty [6] 등 연구자들이 정의한 전이시작 전 단계로서의 전이의도, 전이가 발생하기 위한 중요한 연결고리, 전이관련 행동을 시작하는 선행지표로 정의되는 전이의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면, 현실적으로 평가에 어려움이 있는 안전한 학교 만들기의 목표에 부합되어 가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안전한 학교환경 조성의 목표에 적합한 학교관리자 교육의 전이의도 검증을 통해 교육과정을 보완 발전시키고자 하는 의도를 전제로 한다. 또한 관리자로서 학교안전에 대한 인식이 학교안전 전이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과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학교 안전교육 프로그램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 학교관리자 안전교육 만족도는 학교안전의 전이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 학교안전에 대한 인식은 학교관리자 안전교육 만족도와 학교안전 전이의도의 관계에 대한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2. 학교안전의 이론적 배경

2.1 학교관리자 안전교육 만족도와 학교안전 인식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은 2016년에서야 본격 시행되어 현재까지 깊이 있는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학교관리자 안전교육 만족도와 학교안전에 대한 인식의 관계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선행연구는 없고 다만 유사한 선행연구를 통해 그 관계를 추론할 수 있다.
Kim [7]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관한 교사와 학부모 인식과 만족도 조사”에서 특수교육법에 관한 인식도와 만족도 간에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음을 밝히고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생기면 만족도에도 영향을 주며 만족도 중에서도 인지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생기면 실질적 만족도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따라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대한 다양한 홍보활동과 교사와 학부모의 연수활동 등을 통하여 인식도를 높이면 개정된 법과 실제 운영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고 하였다.
Kim [8]은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에서 전문성에 대한 인식 정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Kim [9]은 “평생교육실무자의 직무역량인식 및 직무교육과 직무만족도간의 관계”에서 직무역량 인식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전체적으로 직무역량 중 기획과 분석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높게 나왔고, 직무역량 분석에 대한 인식이 높고 직무교육 환경이 양호할수록 직무 만족도가 높게 나왔다.
이상의 선행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인식의 정도와 만족도와는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안전에 대한 인식이 학교관리자 안전교육 전과 교육 후의 변화관계를 확인하고 그 인식의 정도가 학교관리자 안전교육 과정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2.2 학교관리자 안전교육 만족도와 학교안전 전이의도

본 연구에서 전이의도는 전이실행 전 단계로서 어떠한 학습 결과를 실행하기 위한 개인의 의도로 정의된다고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언급한 전이의도와 관련된 선행연구자들 Foxon [4], Clemenz [5], Smith 등[10], Park과 Kim [11], Song [3]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전이의도와 전이와의 관계는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전이의도에 따라 전이효과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따라서 학교관리자 안전교육 만족도와 학교안전 전이의도와의 관계를 분석하는 본 연구에서는 만족도가 전이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그 결과 만족도와 전이의도와의 관계를 정의하고자 한다.
Han과 Jo [12]는 “공무원 국외교육프로그램 연수에서 학습만족도가 직무효능감 및 직무몰입 변화를 매개로 교육훈련 전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서 학습만족도는 교육훈련 전이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고, Lee 등[13]은 “기업 이러닝에서 학습전이 관련 변수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에 대한 연구에서 기업 이러닝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능력, 자기효능감, 과제가치는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만족도는 학습전이에 매개효과가 존재한 것으로 확인 하였다.
전이의도는 전이효과학습자가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해 가지는 만족도가 전이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는 전통적인 학습 환경을 대상으로 다수 보고 되어 왔다. Trefz [14]는 교육훈련에 큰 만족을 보인 학습자들이 그렇지 않은 학습자들보다 자신의 실제 업무수행에 교육훈련에서 얻은 지식과 기술을 더 많이 활용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Faerman과 Ban [15]은 학습에 대한 반응과 전이성과 간에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을 설정하여 감독자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참가한 감독자 약 136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감독자의 반응과 전이성과 간에는 강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혀냈다. Al-ammar [16]의 연구에서도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참가자들의 반응이 교육훈련의 직무에 대한 전이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7].
Park [18]은 “국가직업훈련 프로그램이 훈련만족도와 훈련 전이효과에 미치는 영향”의 연구에서 훈련환경, 훈련시설, 훈련장비 등 프로그램 관련 하위 요인들은 훈련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훈련 만족도는 훈련 전이효과에 높은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결과를 검증하였다. Lee [19]는 “대학원 물류교육의 학습전이 요인과 만족도에 대한 연구”에서 학습만족도는 학습전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즉 학습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습전이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학습만족도를 높이는 변인들을 고려함으로서 학습전이를 높여야 한다고 하였다.
이상의 선행연구를 검토해보면 학습 또는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는 전이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의 만족도를 독립변수로 학교안전 전이의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그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2.3 학교안전 인식과 전이의도

교육훈련에 따른 학습 전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최근 언급되고 있는 것이 조직환경에 대한 것이다. Hong [20]은 “사회적 지원인식이 교육훈련 전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서 교육훈련 대상자들의 높은 조직지원 인식이 교육훈련 전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다시 말하면 교육훈련 후 교육훈련 대상자가 회사가 지원하는 것을 강하게 인식 할수록 교육훈련에서 배운 내용을 현업에 잘 적용 시킨다는 것이다. Baldwin과 Ford [21]는 상사의 지원이 학습전이에 핵심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Neo [22]는 학습내용이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고 동료와 상급자로부터의 피드백(Feedback)이 학습전이에 매우 중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Yoo [23]는 “카지노종사원의 교육훈련특성이 전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서 조직상황적 특성, 즉 상사와 동료의 지원과 지속적 조직분위기는 전이성과에 직접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이상의 국내외 연구를 살펴보면 동료나 상사의 지원 즉 직원의 교육훈련에 대한 인식여부가 학습전이효과에 영향을 미치고 또한 조직의 분위기도 학습전이 효과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 다루어진 전이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에 관리자 본인의 인식이 본인의 전이의도 또는 전이효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또는 상관관계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연구대상은 학교 관리자 특히 교장과 교감의 직위에 있는 관리자이므로 동료와 상사의 지원이 미치기 어렵고, 본 연구의 대상인 관리자의 역할에 따라서 학교의 교육 성과가 달라진다는 점[24]에서 보다 구체적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즉 학교안전에 대한 일반적인식, 학교 안전교육의 필요성 인식, 학교관리자의 안전교육에서의 역할 인식으로 구성된 관리자 인식여부가 전이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고, 본 연구에서 제시되고 있는 학교관리자의 안전교육 실시 전 학교관리자의 학교안전에 대한 인식이 교육 실시 후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연구하여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의 효과를 추론하고자 한다.

3. 연구의 설계

3.1 연구모형

본 연구는 다양한 연구자들의 연구 결과를 검토하여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의 만족도가 학교안전 전이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에 대한 관리자의 인식이 학교안전 전이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또한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함께 조사하여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유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연구문제 1. “학교관리자 안전교육 만족도는 학교안전의 전이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와 연구문제 2. “학교안전에 대한 인식은 학교관리자 안전교육 만족도와 학교안전 전이의도의 관계에 대한 매개효과를 가지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아래 Figure 1과 같이 연구모형도를 제시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3.2 변수의 선정

본 연구에서는 학교안전 전이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신뢰 있는 변수를 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선행연구를 기초로 하였다.

3.2.1 매개변수

학교안전 교육 인식과 관련된 변수는 선행연구와 학교관리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관리자들이 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안전교육에 대한 일반적 인식과 관리자로서 느끼는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의 필요성 인식, 그리고 학교관리자의 역할 인식으로 구성하였다. 특히 학교 안전교육의 일반적 인식은 교육 전 평소 학교에서 시행되는 안전교육에 대한 관리자의 인식과 연구의 대상이 되는 학교관리자 안전교육 수료 후 학교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교육 전 조사와 교육 후 조사로 구분하여 구성하였다. 전이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정된 가설과 관련 매개변수는 교육 실시 후 조사된 변수를 사용한다.

3.2.2 독립변수

학교관리자 안전교육 만족도에 대한 구성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의 교육내용에 관한 만족도 5문항, 교육방법에 관한 만족도 5문항, 강사의 전문성에 관한 만족도 6문항, 교육환경에 관한 만족도 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의 내용은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의 내용에 부합하게 일부를 변형하여 교육학 교수와 전문가로부터 검토를 받아 재구성하였다.

3.2.3 종속변수

학교관리자의 안전교육 인식과 학교관리자 소방안전교육 만족도가 학교안전 전이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본 연구에서 전이의도에 대한 평가 문항은 Machin과 Fogarty [6] 전이실행 의도 11개 문항을 참조하여 설문을 구성하였고, 본 연구의 대상이 학교관리자이므로 11개 문항 중 1번과 2번문항은 연구 특성상 본 연구의 실정에 맞게 변형하여 구성하였다.

3.3 가설설정

본 연구는 학교관리자 안전교육 만족도와 학교 안전교육에 대한 관리자의 인식이 학교안전의 전이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구성하였으며, 이러한 관리자들의 전이의도는 학교안전 전이효과로 나타나고 결국은 학교안전 문화 조성에 기여할 수 있음을 기대하고 있다. 이에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에서 주요변인 중 교육내용과 교육방법, 강사의 전문성과 교육환경은 학교안전 전이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설정할 수 있고, 아울러 학교 안전교육에 대한관리자의 인식은 학교안전 전이의도에 매개효과가 존재한다는 가설을 세울 수 있다. 따라서 학교관리자 안전교육 만족도와 학교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의 영역에 해당하는 각각의 독립변수에 대한 가설들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설 1-1>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에서 교육내용의 만족도는 학교안전 전이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1-2>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에서 교육방법에 대한 만족도는 학교안전 전이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1-3>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에서 교수 전문성에 대한 만족도는 학교안전 전이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1-4>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에서 교육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학교안전 전이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1>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에 대한 일반적 인식은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의 만족도와 학교안전 전이의도의 관계의 매개효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2>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에 대한 필요성 인식은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의 만족도와 학교안전 전이의도의 관계의 매개효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3>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에 대한 관리자의 역할 인식은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의 만족도와 학교안전 전이의도의 관계의 매개효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Table 1.
Previous Studies Used in Constructing Variables
Domain Variables Measuring tools
School Manager Safety Education Awareness (Intervening Variable) Awareness of Safety Education Park, et al. (2013) [25], Kim (2017) [26]
Recognizing the Need for Safety Education Choi and Jun (2011) [27], Kim (2016) [9], Kim (2010) [7]
Recognize the Role of School Administrator Lee (2016) [1], Kim (2007) [8], Kim (2010) [7], Kim (2016) [28]
School Manager Safety Education Satisfaction (Dependent Variable) Education Content Caffarella (1991) [29], Ruben (1995) [30], Kwon et al. (2002) [31]
Education Method
Instructor’s Expertise
Educational Environment
Independent Variable School Safety on Transfer Intention Machin and Fogarty (2004) [6], Song (2017) [3]

3.4 조사설계

본 연구의 대상은 학교관리자로서 소방청에서 시행하는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에 참여한 교장과 교감 총 240명을 선정하였다. 선정대상은 중앙119구조본부에서 시행한 학교관리자 안전교육 참여자 120명, 중앙소방학교에서 시행한 학교관리자 안전교육 참여자 80명, 충청소방학교에서 시행한 학교관리자 안전교육 참여자 40명으로 회수된 설문지는 220명(91.7%)이나, 5명의 설문이 부적합한 것으로 인정되어 최종 215부를 표본으로 결정하였다. 또한 설문 회수 방법은 직접 교육현장을 방문하여 교육 실시 전 평소 받았던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조사를 설문을 통해 실시하고, 교육 종료 후 교육을 통해 안전교육에 대한 변화된 인식과 만족도 그리고 전이의도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분석은 통계 프로그램 SPSS 20.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의 구체적 내용과 방법을 제시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교육 전 학교 안전교육의 일반적 인식과 교육 후의 학교안전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변수 별 인식 변화를 검증하기 위한 대응표본 t-검정분석과 문항 별 기술적 통계분석방법인 빈도분석을 통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학교관리자 안전교육 만족도가 학교안전 전이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독립변수들이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였다.
셋째,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Baron & Kenny [32]의 방법을 이용 3단계 회귀분석을 통하여 상호연관성을 파악하였다.

4. 연구의 결과 분석

4.1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차이 분석

변인별 대응표본 t-검정 결과 학교관리자 안전교육 입교를 중심으로 입교 전과 입교 후의 인식 변화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p < 0.001), 학교 안전교육에 대한 일반적 인식과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의 필요성 인식 그리고 학교관리자의 역할 인식의 3가지 요인에서 다소 인식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Table 2 참조). 이러한 검증 결과를 통해 평소 학교관리자에 대한 안전교육은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소방기관에서 실시하는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은 다양한 내용과 체험위주의 실습교육으로 그 효과성이 입증됨을 확인할 수 있다.
Table 3.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School Teachers Safety Education Satisfaction
Independent Variables Unstandardized Coefficients
Standardized Coefficients
t Sig. Collinearity Statistics
Dependent Variables
B Std. Error β Tolerance VIF
Constant 0.898 0.268 3.353 0.001 Transfer Intention
Content Satisfaction 0.414 0.058 0.523 7.094 0.000 0.327 3.054
Method Satisfaction -0.041 0.074 -0.046 -0.561 0.575 0.260 3.848
Instructor Professionalism Satisfaction 0.342 0.091 0.268 3.749 0.000 0.348 2.874
Environmental Satisfaction 0.099 0.045 0.135 2.186 0.030 0.466 2.145
R2 = 0.626  Adjusted R2 = 0.619  F = 87.762  P = 0.000  Durbin-Watson = 2.186

4.2 전이의도에 미치는 영향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의 만족도가 학교안전 전이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독립변수로 구성된 내용의 만족도, 교육방법의 만족도, 강사의 전문성과 관련된 만족도 그리고 교육환경에 대한 만족도 4가지 변인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은 독립변수가 다른 변수와 완전한 선형함수가 되면 다중공선성과 관련된다. 독립변수 사이에 다중공선성이 존재 한다면 독립변수 간에 연관성이 지나치게 높아 종속변수를 설명하는 개별 변수의 해석이 모호해 지며 회귀계수(β)를 비교하는 것이 의미가 없어진다. 일반적으로 다중공선성을 진단하는 요인으로는 분산팽창인자(VIF)를 확인하는데 10을 넘어서거나 분산허용치(혹은 공차)가 0.1이하인 경우에는 다중공선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며, 분산 허용치가 보통 1에 근접하면 변수 간에 다중공선성이 없는 것으로 인정된다[33].
Table 2에서 분산허용치와 분산팽창인자를 확인한 결과,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없다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더욱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 회귀모형의 타당성을 검정한다. 타당성 검정은 F값으로 판단하는데, 이 값이 클수록 설명력이 매우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다중회귀분석 결과를 종합해보면, 우선 회귀모형의 결정계수(R2)는 회귀분석이 종속변수를 잘 설명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본 연구에서는 R2 = 0.626로 전체 분산 중에서 약 62.6%를 설명해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수정된 R2값은 독립변수의 수와 표본의 크기를 고려하여 수정된 값으로 R2 = 0.619로 나타났다.
또한, 표준화된 회귀계수(Beta)를 비교하면 전이의도에 가장 영향력이 있는 변수로는 내용만족도로서 베타(β) = 523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강사만족도, 환경에 대한 만족도 순으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교육방법에 대한 만족도는 유의도(p) 0.05보다 큰 0.575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수는 0.898, 독립변수인 내용만족도에 해당하는 계수는 0.414, 강사만족도에 해당하는 계수는 0.342, 환경만족도에 해당하는 계수는 0.099이므로 회귀식은 다음과 같다.
Y = B0 + B1X1 +B2X2 + B3X3 + .....BnXn
만족도 = 0.898 + 0.414(내용만족) + 0.342(강사만족) + 0.099(환경만족)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연구문제 1. 학교관리자 안전교육 만족도는 학교안전의 전이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였다(Table 4 참조). 독립변수의 요인은 교육내용의 만족도, 교육방법의 만족도, 강사의 전문성에 관한 만족도, 교육환경의 만족도로 구성되었다.
첫째, 교육내용에 관한 만족도의 요인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유의도가 0.05보다 낮고, 베타(β) = 0.523으로 나타나 학교안전 전이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준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는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의 커리큘럼 구성이 소방활동 즉 화재, 구조, 구급에만 편중된 것이 아니라, 교통 및 수난안전 등 다양한 생활안전 내용까지 포괄하여 구성하였기 때문에 관리자로서의 학교안전 전이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가설 1-1>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에서 교육내용의 만족도는 학교안전 전이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어 채택되었다.
둘째, 교육방법에 관한 만족도의 요인에 대한 회귀분석한 결과, 유의도가 0.05보다 높아 본 연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1-2>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에서 교육방법에 대한 만족도는 학교안전 전이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기각되었다.
셋째, 강사 전문성 만족도에 대한 회귀분석한 결과, 유의도가 0.05보다 낮고, 베타(β) = 0.268로 나타나 학교안전 전이의도에 교육내용 다음으로 영향을 준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는 중앙소방학교 및 중앙119구조단의 강사들이 화재, 구조 및 구급 자격을 소지한 전문강사로 각종 재난현장에서 습득한 경험과 노하우를 겸비하였고, 또한 최근 생활안전에 대한 경각심이 고취되면서 생활안전 분야에서의 특화된 교육 내용과 기술을 교육함으로서 관리자들의 관심도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가설 1-3>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에서 교수 전문성에 대한 만족도는 학교안전 전이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가설은 채택되었다.
넷째, 교육환경 만족도 회귀분석 결과 유의도가 0.05보다 낮고, 베타(β) = 0.135로 나타나 학교안전 전이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중앙소방학교 및 중앙119구조단의 안전교육 시설이 체험위주의 현장교육으로 특화되어 보다 쉽게 안전과 관련된 지식을 습득할 수 있고, 또한 교육시설들이 집약적으로 설치되어 있어 과정별 이동이 용이하여 전이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가설 1-4>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에서 교육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학교안전 전이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가설은 채택되었다. 따라서 연구문제 1.과 관련된 가설 검증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 Table 4과 같다.

4.3 학교안전에 대한 인식의 매개효과

본 연구에서 <연구문제 2>로 제시된 “학교관리자 안전교육 만족도와 학교안전 전이의도에서 학교안전에 대한 인식은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 [32]의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매개변수로 설정된 학교안전에 대한 인식은 3가지 하위변인으로 구성하였으나, 요인분석결과 학교안전에 대한 일반적 인식과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의 필요성 및 관리자 역할 인식(필요성 및 역할인식)의 2가지 하위변인으로 재구성하여 매개효과를 각각 검증하였다.
먼저 1단계는 독립변인인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의 만족도가 종속변인인 학교안전 전이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한다. 2단계에서는 독립변인이 매개변인인 학교안전에 대한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지를 검증한다. 마지막으로 3단계는 독립변인, 매개변인, 종속변인을 모두 회귀분석식에 투입하여 매개변인의 종속변인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고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에 미치는 효과의 변화 여부를 검증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매개변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을 연결하려면 다음과 같은 네가지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①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관계(t)가 유의해야 한다.
② 독립변인과 매개변인의 관계(a)가 유의해야 한다.
③ 매개변인와 종속변인의 관계(b)가 유의해야 한다.
④ 매개변인인 추가된 모형에서의 독립변인 효과(c)가 매개변인이 없는 모형에서의 독립변인 효과(t)보다 작아야 한다. 즉, c < t이어야 한다.

4.3.1 학교안전에 대한 일반적인식의 매개효과

<가설 2-1> “학교 안전교육에 대한 일반적 인식은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의 만족도와 학교안전 전이의도의 관계의 매개효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검증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 [32]의 3단계 매개효과 분석 결과는 아래 Table 5와 같다. 우선 1단계로 독립변인의 하위변인 중 교육내용의 만족도(β = 0.523, p < 0.05)와 강사의 전문성 만족도(β = 0.268, p < 0.05) 그리고 교육환경 만족도(β = 0.135, p < 0.05) 변인이 종속변인인 전이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단계 분석에서는 독립변인인 학교관리자 안전교육 만족도 하위변인 중 교육내용 만족도(β = 0.417, p < 0.05)와 강사의 전문성 만족도(β = 0.279, p < 0.05) 변인이 매개변인인 학교 안전교육에 대한 일반적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독립변인과 매개변인이 동시에 투입된 3단계 검증에서 모형1과 모형2의 분석된 β값을 비교하면 교육내용 만족도(모형1 β = 0.534 〉모형2β = 0.427)와 강사전문성 만족도(모형1 β = 0.321 〉모형2β = 0.254)로 변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학교안전에 대한 일반적 인식”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1단계 분석에서 R2 = 0.626, F = 87.762***로 확인되어 학교관리자 안전교육 만족도의 학교안전 전이의도에 대한 설명력이 62.6%이고 회귀식은 유의수준 p < 0.05 수준에서 유의미함이 입증되었다. 2단계에서 R2 = 0.449, F = 42.866***로 분석되어 학교관리자 안전교육 만족도가 학교안전에 대한 일반적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은 44.9%이고 회귀식의 유의성도 p < 0.05 수준에서 검증되었다. 마지막 3단계 모형1에서 R2 = 0.617, F = 170.708*** 모형2에서 R2 = 0.648, F = 129.750***으로 분석되었으며 유의수준 p < 0.001 수준에서 회귀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각 변인별 다중공선성을 검증하기위해 공차한계(Tolerance)와 분산확대지수(Variance inflation factor, VIF)를 확인하였다. 일반적으로 다중공선성이 낮을수록 공차한계(Tolerance)는 높게 나타나며 최대값은 1이다. Table 5의 공차한계값을 살펴보면 공차한계의 최대값이 0.554로 상대적으로 크지 않다. 또한 공차한계(Tolerance)값의 역수인 VIF값 역시 10보다 매우 작게 나타나 변인별 다중공선성 문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3.2 안전교육 필요성 및 관리자 역할 인식에 대한 매개효과

<가설 2-2> “학교관리자 안전교육 필요성 및 관리자 역할인식은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의 만족도와 학교안전 전이의도의 관계의 매개효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분석 결과는 아래 Table 6과 같다. 우선 1단계로 독립변인의 하위변인 중 교육내용의 만족도(β = 0.523, p < 0.05)와 강사의 전문성 만족도(β = 0.268, p < 0.05) 그리고 교육환경 만족도(β = 0.135, p < 0.05) 변인이 종속변인인 전이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단계 분석에서는 독립변인인 학교관리자 안전교육 만족도 하위변인 중 교육내용 만족도(β = 0.383, p < 0.001)와 강사의 전문성 만족도(β = 0.405, p < 0.001) 변인이 매개변인인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의 필요성 및 관리자 역할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독립변인과 매개변인이 동시에 투입된 3단계 검증에서 모형1과 모형2의 분석된 β값을 비교하면 교육내용 만족도(모형1 β = 0.534〉모형2 β = 0.447)와 강사전문성 만족도(모형1 β = 0.321〉모형2β = 0.231)로 감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학교관리자 안전교육 필요성 및 관리자 역할 인식”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1단계 분석에서R2 = 0.626, F = 0.87.762***로 확인되어 학교관리자 안전교육 만족도의 학교안전 전이의도에 대한 설명력이 62.6%이고 회귀식은 유의수준 p < 0.05 수준에서 유의미함이 입증되었다. 2단계에서 R2 = 0.543, F = 62.427***로 분석되어 학교관리자 안전교육 만족도가 학교안전에 대한 일반적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은 54.3%이고 회귀식의 유의성도 p < 0.001 수준에서 검증되었다. 마지막 3단계 모형1에서 R2 = 0.617, F = 170.708*** 모형2에서 R2 = 0.634, F = 129.486***으로 분석되었으며 유의수준 p < 0.001 수준에서 회귀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각 변인별 다중공선성을 검증하기위해 공차한계(Tolerance)와 분산확대지수(Variance inflation factor, VIF)를 확인하였다. 일반적으로 다중공선성이 낮을수록 공차한계(Tolerance)는 높게 나타나며 최대값은 1이다. Table 6의 공차한계값을 보면 공차한계의 최대값이 .554로 상대적으로 크지 않다. 또한 공차한계(Tolerance)값의 역수인 VIF값 역시 10보다 매우 작게 나타나 변인별 다중공선성 문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문제 2와 관련된 <가설 2-1> “학교 안전교육에 대한 일반적 인식은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의 만족도와 학교안전 전이의도의 관계의 매개효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유의미한 결과 도출로 채택 되었으며, 또한 <가설 2-2> “학교관리자 안전교육 필요성 및 관리자 역할 인식은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의 만족도와 학교안전 전이의도의 관계의 매개효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도 역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어 채택되었다.

5. 결 론

본 연구 검증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학교 관리자로서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관리자의 역할[34]에 비추어 볼 때 안전한 학교환경 조성에서 매우 중요한 기반을 제공한다. 이에 본 연구는 중앙소방학교 및 중앙119구조단 등에서 실시하는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이 학교관리자들의 안전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지를 설문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관리자 대부분이 교육 전과 후의 인식이 변화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학교 안전교육에 대한 일반적 인식과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의 필요성 및 관리자 역할 인식의 변화는 매우 긍적적이었으나, 유관기관 협업을 통한 지역안전문화 정착과 관련된 인식은 크게 변화가 없었다. 이는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의 목표와 실제 교육의 내용에서 일부 차이가 있어 관리자로서 지역안전문화 정착과 관련된 내용이 부족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추후 교육에서는 이러한 안전문화 정착에 대한 커리큘럼을 좀더 보완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예를 들면 안전관련기관인 적십자, 지역보건소 등의 업무 담당자를 강사로 초빙하여 안전사고관련 정책과 다른 기관과의 업무연계성 등을 학습하고 토론하는 시간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둘째,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의 만족도는 학교안전 전이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육내용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강사의 전문성에 대한 만족도와 교육환경에 대한 만족도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육방법에 대한 만족도는 학교안전 전이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지 않아 가설은 기각되었다. 이는 학교관리자의 교육내용은 소방안전에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생활안전을 포함하여 편성하여 관리자들의 관심과 지적 호기심을 충족시켰으며, 현직 소방관으로 경험이 풍부한 강사와 다양한 체험시설을 갖춘 교육환경은 관리자들로 하여금 학교안전의 변화를 모색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하기에 충분한 가능성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 만족도와 관련된 선행연구 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학교관리자에 대한 교육방법은 체험위주의 실습형 교육을 중심으로 편성하여 진행하였으나 이는 관리자들의 연령대가 50대 이상이 다수를 점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면 일부 전이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었다. 이는 안전관리자의 역할 인식에서 좀 더 몰입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 여건이 주어져야 함을 인식하고 교육방법에 대한 개선을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관리자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이론과 실무 또는 체험교육의 비율을 조절한다면 교육 방법 역시 학교안전 전이의도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은 학교관리자 안전교육 만족도와 학교안전 전이의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세부적으로 결과를 살펴보면, Baron과 Kenny [32]에 의해 제시된 3단계 매개효과 검증 결과, 우선 학교관리자 안전교육에 대한 일반적 인식은 학교관리자 안전교육 만족도 변인 중 교육내용과 강사의 전문성이 학교안전 전이의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존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관리자 안전교육 필요성 및 관리자 역할 인식도 학교관리자 안전교육 변인 중 교육내용과 강사의 전문성과 학교안전 전이의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존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안전교육에 대한 기존의 인식, 교육 과정 중에 인식을 매개효과를 검증한 것이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학교관리자 안전교육과정을 설계할 때 관리자들의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관련하여 안전관리자 교육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교육의 요소와 그 과정을 고민해야 할 것이다.

Notes

1) 학교안전공제회에 따르면 학교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현황은 2018년 122,570건, 2017년 116,684건, 2016년 116,077건, 2015년 120,123건, 2014년 116,527건이다.

Figure 1.
Framework of analysis.
KIFSE-2019-33-4-152f1.jpg
Table 2.
Analysis of Perceptions of Safety Education
Variables Classification M SD t P
Recognition of School Safety Education Before Education 4.200 0.589 7.961 0.000
After Education 4.574 0.393
Recognizing the Need for School Safety Education Before Education 4.617 0.470 5.398 0.000
After Education 4.812 0.306
Recognize the Role of School Administrator Before Education 4.618 0.506 4.205 0.000
After Education 4.793 0.384
Table 4.
Hypothesis Test Summary
Hypothesis β p Adoption Relative Weight
Content Satisfaction 0.523 0.000 1
Method Satisfaction -0.046 0.575 × -
Instructor Professionalism Satisfaction 0.268 0.000 2
Environmental Satisfaction 0.135 0.030 3
Table 5.
The Mediating Effec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hool Administrator Safety Education Satisfaction and the School Safety Transfer Intention
Analysis Step Independent Variables β Sig. Tolerance VIF R2 (adj) F Dependent Variable
Step 1 School Manager Safety Education Satisfaction Contents 0.523 0.000 0.327 3.054 0.626 87.762*** Transfer Intention
Method -0.046 0.575 0.260 3.848
Instructor 0.268 0.000 0.348 2.874
Environment 0.135 0.030 0.466 2.145
Step 2 School Manager Safety Education Satisfaction Contents 0.417 0.000 0.327 3.054 0.449 42.866*** General Recognition
Method 0.079 0.433 0.260 3.848
Instructor 0.279 0.002 0.348 2.874
Environment -0.052 0.485 0.466 2.145
Step 3 Model 1 Contents 0.534 0.000 0.554 2.165 0.617 170.708*** Transfer Intention
Instructor 0.321 0.000 0.554 1.949
Model 2 Contents 0.427 0.000 0.462 2.165 0.648 129.750***
Instructor 0.254 0.000 0.513 1.949
General recognition 0.239 0.000 0.553 1.808
Table 6.
Mediating Effect of General Awareness on School Safety Education
Analysis Step Independent Variables β Sig. Tolerance VIF R2 (adj) F Dependent Variables
Step 1 School Manager Safety Education Satisfaction Contents 0.523 0.000 0.327 3.054 0.626 87.762*** Transfer Intention
Method -0.046 0.575 0.260 3.848
Instructor 0.268 0.000 0.348 2.874
Environment 0.135 0.030 0.466 2.145
Step 2 School Manager Safety Education Satisfaction Contents 0.383 0.000 0.327 3.054 0.543 62.427*** Necessity and Role Recognition
Method 0.035 0.699 0.260 3.848
Instructor 0.405 0.000 0.348 2.874
Environment -0.019 0.784 0.466 2.145
Step 3 Model 1 Contents 0.534 0.000 0.554 2.165 0.617 170.708*** Transfer Intention
Instructor 0.321 0.000 0.554 1.949
Model 2 Contents 0.447 0.000 0.465 2.151 0.634 124.486***
Instructor 0.231 0.000 0.460 2.172
Necessity and Role Recognition 0.220 0.000 0.457 2.187

REFERENCES

1. J. H. Lee, “Influence of Manager’s Safety Consciousness on Safety Culture of an Organization”, Master’s Thesis, Incheon National University (2016).

2. D. J. Choi, “A Study on Influential Factors of Learning Transfer in Education and Training”,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2010).

3. J. H. Song, “The Effect of Learner Sil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Competency Development Program for Civil Services and Transfer Intention: Focused on the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Competency Development Program in Public Organizations,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Ph.D. Dissertaiton, Dankook University (2017).

4. M. J. Foxon, “Process Approach to the Transfer of Training : Part1 : The Impact of Motivation and Supervisor Support on Transfer Maintenance”, Australia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9, No. 2, pp. 130-143 (1993).

5. C. E. Clemenz, “Measuring Perceived Quality of Training in the Hospitality Industry”, Ph.D. Dissertaiton,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 (2001).

6. M. A. Machin and G. J. Fogarty, “Assessing the Antecedents of Transfer Intentions in a Training Context”, International Journal of Training Development, Vol. 8, No. 3, pp. 222-236 (2004).
crossref
7. M. H. Kim,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n Special Education Law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Master’ Thesis, Chosun University (2010).

8. G. N. Kim,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Recognition on Professionalism of Social Workers and Job Satisfaction at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Master’s Thesis, SangJi University (2007).

9. J. W. Kim, “The Relationship Among Recognition of Duties Ability, Job Education and Job Satisfaction of Lifelong Education Workers: In the Center of the Gwangju-Jeonnam Region, Department of Lifelong education”, Master’s Thesis, Gwangju University (2016).

10. R. Smith, R. Jayasuriya, P. Caputi and D. Hammer, “Exploring the Role of Goal Theory in Understanding Training Motiv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Training and Development, Vol. 12, pp. 54-72 (2008).
crossref
11. J. S. Park and J. M. Kim, “Predictors of the Transfer Intention of the Participants in a Corporate Leadership Training Program”,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Vol. 18, No. 4, pp. 49-79 (2016).
crossref
12. J. Y. Han and I. H. Jo, “Learning Satisfaction Effect on Transfer of Training for Local Government Officials’ Overseas Training Mediated by Change of Vocational Self-efficacy and Job Involvement”, Korea Society for Learning and Performane, Vol. 14, No. 2, pp. 261-276 (2012).

13. S. K. Lee, S. Y. Byun and S. Y. Kwon, A Study to Verify the Learning Transfer Model in Corporate e-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26, No. 1, pp. 1-24 (2010).

14. M. K. Trefz, “Factors Associated with Perceived Efforts of Trainees to Transfer Learning from a Management Training Activity”, Ph.D. Dissertation, Ohio State University (1991).

15. S. R. Faerman and C. Ban, “Tranees Ssatisfaction and Training Impact : Issues in Training Evaluation”, Public Productivity Management Review, Vol. 16, No. 3, pp. 299-314 (1993).
crossref
16. S. A. Al-ammar, “The Influence of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n Training Motivation and Effectiveness”, Ph.D. Dissertation,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4).

17. Y. J. Joo and G. Y. Kim,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Occupational Self-efficacy, Task Value, Work Autonomy, Satisfac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Transfer Intentions”,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Vol. 14, No. 3, pp. 279-306 (2010).
crossref
18. T. H. Park, “The Influence of National Vocational Training Program on Training Satisfaction and Training Transfer Effects: Focus on a Consortium Training Program”, Master’ Thesis, Chosun University (2015).

19. J. Y. Lee, “A Study on Factors Related to Learning Transfer and Satisfaction in Logistics Education of Graduate School”, Master’ Thesis, Chun-Ang University (2014).

20. S. I. Hong, “A Study on the Influence of Recognition of Social Support on the Transfer of Education and Training”,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 12, No. 2, pp. 33-59 (2010).

21. T. T. Baldwin and J. K. Ford, “Transfer of Training: A Review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Personnel Psychology, Vol. 41, pp. 63-105 (1988).
crossref
22. R. A. Noe, “Trainees’ Attributes and Attitudes: Neglected Influences on Training Effectivenes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11, No. 4, pp. 736-749 (1986).
crossref
23. S. H. Yoo, “A Study On the Effects of Transfer on the Training of Casino Employees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Transfer characteristics”, Service Industry Research, Vol. 9, No. 2, pp. 69-86 (2012).

24. H. J. Hwang and S. H. Park, “School Administrators’ Roles for the Implementation of Inclusive Educational General Elementary Schools”,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Vol. 22, No. 4, pp. 47-79 (2006).

25. J. H. Park, S. Y. Kim and K. N. Lee, “Safety Education Status and Needs based on the Survey of the Recogni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s”, Journal of Practical Arts Education, Vol. 26, No. 3, pp. 171-189 (2013).

26. T. E. Kim, “A Study on Realities and Teacher’s Perception of Safety Education in Special School”, Master’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7).

27. Y. K. Choi and H. J. Ju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n and Need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Journal of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Vol. 12, No. 1, pp. 241-259 (2011).

28. S. H. Kim, “A Study on the Degree of Day Care Center Par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Recognition on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Master’ Thesis, Dong-A University (2016).

29. R. S. Caffarella and J. M. O’Donnell, “Judging the Quality of Work-related, Self-directed Learning”, Adult Education Quarterly, Vol. 42, No. 1, pp. 17-29 (1991).
crossref
30. B. D. Ruben, “Quality in Higher Education, New Brunswick”, Transaction Publishers (1995).

31. D. B. Kwon, Y. J. Oh, H. M. Park, J. J. Son and S. H. Song, “An Exploring Study on Determining Factors for College Student’s Degree of Educational Satisfaction”, The Korea Educational Review, Vol. 40, No. 3, pp. 191-202 (2002).

32.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Vol. 51, No. 6, pp. 1173-1182 (1986).
crossref pdf
33. B. H. Yang, “Utilization and Understanding of Multivariate Data Analysis”, Hakjisa, pp. 67-68 (2002).

34. H. J. Hwang and S. H. Park, “School Administrators’ Roles for the Implementation of Inclusive Educational General Elementary Schools”,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Vol. 22, No. 4, pp. 47-79 (2006).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Room 906, The Korea Science Technology Center The first building, 22, Teheran-ro 7 Gil, Gangnam-gu, Seoul, Republic of Korea
Tel: +82-2-555-2450/+82-2-555-2452    Fax: +82-2-3453-5855    E-mail: kifse@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