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re Sci. Eng. Search

CLOSE


Fire Sci. Eng. > Volume 36(6); 2022 > Article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발생 전후 119 구급 서비스의 신고 건수와 소요 시간 비교 분석

요 약

본 연구에서는 COVID-19 발생 전후 경기도의 119 구급 서비스 신고 건수와 소요 시간에 나타난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19 구급 신고 건수를 COVID-19 발생 전후 1년간(2019년 1월 20일∼2020년 1월 19일 vs. 2020년 1월 20일∼2021년 1월 19일)을 비교할 때, 694,238건에서 640,938건으로 53,300건 감소하였으며, 일평균 119 구급 신고 건수도 직전 1년간의 1,893.8건에서 1,761.7건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COVID-19 발생 전후 1년간 119 신고 접수로부터 구급차 귀소까지 구급 서비스 시간을 평균으로 보면, 49.12 min에서 55.96 min으로 6.84 min, 중위수로 보면 39 min에서 42 min으로 3 min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현재 COVID-19의 전파가 지속되고 있으며, 향후 유사한 감염병의 재현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감염병이 수반된 사고 또는 질병 등을 보다 세분화하고, 광역시도 또는 시군구 기준의 지역 특성과 가계의 소득 특성 등을 반영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감염병의 발생과 지속적 확산 과정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119 구급 서비스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emergency ambulance call volume and emergency ambulance time (interval) in Gyeonggi-do, South Korea,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ambulance call volume to 119 (South Korea’s emergency telephone number) decreased by 53,300 from 694,238 in the one-year period of January 20, 2019-January 19, 2020 to 640,938 in January 20, 2020-January 19, 2021. Similarly, the daily average 119 ambulance call volume also decreased from 1,893.8 to 1,761.7 in the same one-year period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Ambulance time from activation to return record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of 6.84 min from 49.12 min to 55.96 min on average, with a median of 3 min from 39 min to 42 min, for the one-year period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Amid the continued spread of COVID-19 and the high probability of recurrence of a similar pandemic in the future, future research should distinguish between emergency response to accidents and infectious diseases. In addition, by reflect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household incom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metropolitan or city, county, and other government units, an effective 119 ambulance service system can be established—one that can respond to the occurrence and continuous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1. 서 론

2019년 12월 말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이하 COVID-19)가 처음 발생한 이후 전 세계에 급격한 전파를 보이면서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2020년 3월 11일 COVID-19를 ‘세계적 대유행’ (a global pandemic)으로 선언하였다(1). 이 같은 COVID-19의 확산을 줄이기 위해 세계보건기구는 국제적으로 각국 정부에게 사회적 거리두기 등의 조치를 권고하였다.
COVID-19와 같은 감염병의 급속한 전파와 확산으로 인해 119 구급 서비스에 대한 수요와 공급은 일상적인 사고 또는 대량 사상자 발생과 같은 물리적 재난 상황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감염자 또는 감염 의심 환자의 갑작스런 폭증, 감염자와 의료진의 접촉에 따른 감염 우려 등으로 병원 응급실에 대한 접근 제한 또는 단기적 폐쇄 조치가 시행되면서 응급실 내원 환자는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경우(2) 2020년 2월 22일부터 3월 31일까지와 2019년 동일 기간 대구 지역의 일개 병원 응급의료센터를 이용한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평균 응급실 일일 방문 환자 수의 중위수는 2019년 122명에서 2020년 77명으로 감소하여 COVID-19 이전에 비해 응급실 방문 환자가 줄어들었다. 이 같은 COVID-19에 따른 응급실 방문 환자의 감소는 미국(3), 영국(4), 호주(5,6) 등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COVID-19에 따른 구급 서비스의 수요, 즉 구급 서비스 신고 건수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지만 국가 또는 지역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하는 상반된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이탈리아(7)의 구급 서비스 신고 건수는 COVID-19 발병이 절정에 달했을 때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미국(8), 일본(9), 독일(10)의 연구에서는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로 시행된 재택 제한 기간 동안 구급 서비스 신고 건수가 감소하였다.
또한 구급 서비스의 공급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구급 서비스의 소요 시간은 COVID-19로 인해 전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소방본부의 경우 119 구급 서비스 시간을 2020년 1월 26일부터 10월 31일까지와 2019년의 같은 기간 동안 비교한 연구(11)에서 미이송을 제외한 이송 사례만을 대상으로 계산한 구급차 출동으로부터 귀소까지의 소요 시간이 평균 53.61 min에서 66.19 min으로 12.58 min 증가하였다. 일본(9), 덴마크(12)의 연구 사례와 함께 병원전 심정지(out-of-hospital cardiac arrest, OHCA) 환자를 대상으로 메타 분석을 수행한 연구(13)에서도 구급 신고 접수에서 현장 도착까지의 소요 시간이 COVID-19 발생 이전에 비해 이후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OVID-19 발생 전후 119 구급 서비스의 신고 건수와 소요 시간에 나타난 변화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COVID-19 발생과 확산이 119 구급 서비스의 수요와 공급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일상적인 사고 또는 일시적인 대량 사상자 발생과 같은 물리적 재난 상황과는 달리 COVID- 19와 같은 감염병의 발생과 지속적 확산 과정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119 구급 서비스 체계 구축 등의 기초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분석 자료 및 방법

2.1 분석 자료 및 대상

본 연구에서는 보건복지부 COVID-19 발생동향 통계와 경기도 구급활동 현황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보건복지부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 (https://ncov.mohw.go.kr)을 통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진환자 17개 시도 및 검역(국내발생 + 해외유입) 발생 현황’을 발표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COVID-19가 우리나라에서 최초 발생한 2020년 1월 20일부터 2021년 1월 19일까지 경기도의 COVID-19 확진환자 18,378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공공데이터포털(https://www.data.go.kr/)에 공개된 ‘경기도 구급활동 현황’ 자료로부터 COVID-19가 최초 발생한 2020년 1월 20일을 기준으로 전후 1년간인 2019년 1월 20일부터 2021년 1월 19일까지의 2년간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2019년 1월 20일부터 2020년 1월 19일까지, 그리고 2020년 1월 20일부터 2021년 1월 19일까지의 119 구급 서비스 신고 건수는 각각 694,238건, 640,938건으로 총 1,335,176건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2.2 분석 변수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의 COVID-19 발생 전후 1년간의 119 구급 신고 건수(call volume)를 비교하기 위해 COVID-19 확진환자 수와 119 구급 신고 건수를 분석 변수로 활용하였다.
또한 구급 서비스 시간을 분석하기 위해 ‘경기도 구급활동 현황’ 자료에서 신고년월일, 신고시각, 출동년월일, 출동시각, 현장도착년월일, 현장도착시각, 현장과의 거리, 귀소년월일, 귀소시각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급 서비스 시간을 활성화시간(activation interval), 반응시간(response interval), 현장체류 + 이송 + 귀소시간(on-scene + transport + return interval), 전체 구급 서비스 시간(from activation to return interval)등으로 세분화하여 분석 변수로 산출하였다**(14).
(1)
활성화시간 = 출동시각 - 신고시각
(2)
반응시간 = 현장도착시각 - 출동시각
(3)
현장체류+이송+귀소시간 = 귀소시각현장도착시각
(4)
전체 구급 서비스 시간=귀소시각 - 신고시각
특히 반응시간에 대해 현장과의 거리를 반영하여 다음과 같이 조정 반응시간(response interval revised by distance)을 산출하여 분석 변수로 이용하였다.
(5)
조정 반응시간=현장도착시각출동시각현장과의 거리

2.3 분석 방법

본 연구에서는 보건복지부의 발표(15)를 이용해 우리나라 COVID-19 발생 양상의 유행 특성에 따라 2020년 1월 20일부터 2021년 1월 19일까지를 총 5기(제1기∼제5기)로 구분하여 전국 및 경기도의 기간별 전체 확진환자 수와 일평균 확진환자 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경기도의 COVID-19 발생 전후 1년간의 119 구급 신고 건수를 COVID-19 발생 양상의 유행 특성에 따라 기간별로 비교 분석하고, t - test를 이용하여 통계적 차이를 검정하였다. 구급 서비스 시간은 활성화시간, 반응시간, 조정 반응시간, 현장체류 + 이송 + 귀소시간, 전체 구급 서비스 시간으로 구분하여 COVID-19 발생 전후 1년간의 통계적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모수 검정인 t - test와 비모수 검정인 Wilcoxon-Mann-Whitney test를 수행하였다.
통계 분석의 유의성은p - value가 0.05 미만이 되도록 하였으며, 통계 처리에는 STATA ver. 14.2 (STATA Corp., college station, TX, USA)를 사용하였다.

3. 분석 결과

3.1 COVID-19의 발생 양상과 119 구급 서비스 신고 건수

우리나라에서 COVID-19는 2020년 1월 20일 첫 확진환자가 보고된 이후 2021년 1월 19일까지 1년간 총 73,115명이 발생하였으며, 경기도의 경우 2020년 1월 26일 첫 확진환자가 발생한 후 같은 기간 총 18,378명이 발생하였다(Table 1Figure 1 참조).
Table 1
One Year Total and Daily Average Number of COVID-19 Infected Nationwide and in Gyeonggi-do (Unit: Persons)
Total Stage 1 (2000. 1. 20. ∼2. 17.) Stage 2 (2. 18.∼ 5. 5.) Stage 3 (5. 6.∼ 8. 11.) Stage 4 (8. 12.∼ 11. 12). Stage 5 (11. 13.∼ 2021. 1. 19.)
Nationwide Total 73,115 30 10,774 3,856 13,282 45,173
Daily Average 199.8 (0∼1,240)1) 1.0 (0∼5) 138.1 (2∼909) 39.3 (2∼113) 142.8 (38∼441) 664.3 (191∼1,240)
Gyeonggi-do Total 18,378 11 670 964 4,170 12,563
Daily Average 50.2 (0∼331) 0.4 (0∼3) 8.6 (0∼31) 9.8 (0∼28) 44.8 (8∼124) 184.8 (42∼331)

1) (Minimum∼Maximum)

Figure 1
COVID-19 patients and call volumes before and after COVID-19 outbreak in Gyeonggi-do.
kifse-36-6-151-g001.jpg
보건복지부는 COVID-19 발생 양상에 따라 2020년 1월 20일∼2021년 1월 19일을 총 5기(제1기∼제5기)로 구분하였는데, 기간별 전국 및 경기도 COVID-19의 확진환자 수는 Table 1과 같다. COVID-19는 전국적으로 제2기(2020년 2월 18일∼5월 5일)의 1차 유행에 이어, 제4기(2020년 8월 12일∼11월 12일)의 2차 유행, 제5기(2020년 11월 13일∼2021년 1월 19일)의 3차 유행이 발생하였으며, 특히 경기도에서는 제4기와 제5기에 COVID- 19가 크게 확산되었다(15).
이와 같은 COVID-19의 발생 및 유행 양상은 119 구급 신고 건수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Table 2Figure 1 참조).
Table 2
Call Volumes Before and After COVID-19 Outbreak in Gyeonggi-do (Unit: Callings, %)
Before COVID-19 Outbreak (2019. 1. 20.∼2020. 1. 19.) After COVID-19 Outbreak (2020. 1. 20.∼2021. 1. 19.) B-A T-test of Daily Average2)
No. of Days Total: A Daily Average1) No. of Days Total: B Daily Average1)
Total 365 694,238 (100,0) 1,893.8 ± 144.8 366 640,938 (100.0) 1,761.7 ± 165.3 -53,300 11.4974***
Stage 1 (1. 20.∼2. 17.) 29 48,480 (7.0) 1,673.0 ± 102.2 29 50,467 (7.9) 1,741.2 ± 94.38 1,987 -2.6418*
Stage 2 (2. 18.∼5. 5.) 77 139,363 (20.1) 1,811.2 ± 109.4 78 120,245 (18.8) 1,586.1 ± 124.4 -19,118 11.9554***
Stage 3 (5. 6.∼8. 11.) 98 194,575 (28.0) 1,986.6 ± 111.6 98 183,899 (28.7) 1,877.7 ± 126.1 -10,676 6.4030***
Stage 4 (8. 12.∼11. 12). 93 181,582 (26.2) 1,953.3 ± 113.1 93 171,647 (26.8) 1,847.1 ± 123.0 -9,935 6.1313***
Stage 5 (11. 13.∼1. 19.) 68 130,238 (18.8) 1,866.5 ± 114.5 68 114,680 (17.9) 1,687.8 ± 110.0 -15,558 9.2835***

1) Mean ± Standard Deviation, 2)

*** p < 0.001,

** p < 0.01,

* p < 0.05,

2020년 1월 20일 우리나라에서 COVID-19 확진환자가 처음 발생한 이후 2021년 1월 19일까지 1년간 경기도의 119 구급 신고 건수는 640,938건으로 직전 1년간인 2019년 1월 20일부터 2020년 1월 19일까지의 694,238건과 비교할 때 53,300건이 감소하였으며, 일평균 119 구급 신고 건수도 직전 1년간의 1,893.8건에서 1,761.7건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특히 COVID-19 발생 양상에 따른 기간 구분을 기준으로 보면, COVID-19 발생 초기인 제1기에만 119 구급 신고 건수가 직전 1년의 같은 기간과 비교할 때 증가했을 뿐, 제2기부터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제2기의 경우 직전 1년의 같은 기간에 139,363건에서 120,245건으로 19,118건 감소하였으며, 일평균 119 구급 신고 건수도 1,811건에서 1,586건으로 크게 줄어들었다. 직전 1년의 같은 기간과 비교해 제3기에는 10,676건, 제4기에는 9,935건, 제5기에는 15,558건 감소하였다. 또한 일평균 119 구급 신고 건수의 감소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3.2 COVID-19의 발생 전후의 119 구급 서비스 시간

COVID-19가 발생한 2020년 1월 20일을 기준으로 1년 전 119 구급 서비스 신고 건수 694,238건과 1년 후 119 구급 서비스 신고 건수 640,938건으로부터 구급 서비스 시간을 산출한 결과는 Table 3Figure 2와 같다.
Table 3
Ambulance Time: Before and After COVID-19 Outbreak in Gyeonggi-do (Unit: min, cases)
Before COVID-19 Outbreak (2019. 1. 20.∼2020. 1. 19.) After COVID-19 Outbreak (2020. 1. 20.∼2021. 1. 19.) t-test2) W-M-W test2)3)
Mean ± Standard Deviation Percentiles1) n Mean ± Standard Deviation Percentiles n
1Q M 3Q 1Q M 3Q
Activation Interval 2.90 ± 39.97 1 2 3 690,854 3.33 ± 47.83 1 2 3 644,319 -5.6645*** -42.798***
Response Interval 7.17 ± 17.58 4 6 9 587,453 8.59 ± 8.44 5 7 10 536,983 -53.9039*** -140.302***
Response Interval Revised by Distance 3.98 ± 21.81 2 2.96 4.44 587,171 4.42 ± 5.98 2.20 3.21 7.78 536,780 -14.3099*** -78.265***
On-scene + Transport+ Return Interval 47.00 ± 883.64 23 36 54 587,424 55.23 ± 859.87 24 40 65 536,973 -4.9956*** -92.677***
From Activation to Return Interval 49.12 ± 857.55 23 39 59 690,825 55.96 ± 875.17 23 42 68 644,309 -4.5657*** -64.149***

1) 1Q: 1st Quantile, M:Median, 3Q: 3rd Quantile, 2)

*** p < 0.001, **p < 0.001, *p < 0.001, 3) Wilcoxon-Mann-Whitney Test’s Z

Figure 2
Ambulance time (mean): Before and after COVID-19 outbreak in Gyeonggi-do (unit: min).
kifse-36-6-151-g002.jpg
활성화시간, 반응시간, 조정 반응시간, 현장체류 + 이송 + 귀소시간, 그리고 전체 구급 서비스 시간 등에서 COVID-19 발생 이전 1년간보다 이후 1년간이 모수 검정인 t - test와 비모수 검정인 Wilcoxon-Mann-Whitney test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구급 서비스 시간의 평균값(mean)을 기준으로 보면, 활성화시간은 COVID-19 발생 이전은 2.90 min이었지만 이후에는 3.33 min으로 0.43 min 증가하였다. 반응시간은 7.17 min에서 8.59 min으로 1.42 min이 늘어났으며, 거리를 반영한 조정 반응시간도 3.98 min에서 4.42 min으로 0.44 min 증가하였다. 현장 처치 등이 수반된 현장체류 + 이송 + 귀소시간도 47.00 min에서 55.23 min으로 8.23 min 증가하였다. 이와 같이 활성화시간, 반응시간, 현장체류 + 이송 + 귀소시간이 모두 증가함에 따라 전체 구급 서비스 시간은 COVID-19 발생 이전 49.12 min에서 발생 이후 55.96 min으로 6.84 min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급 서비스 시간의 중위수(median)를 기준으로 할 경우, 활성화시간은 COVID-19 발생 이전과 이후 2 min으로 동일하였지만, 반응시간은 6 min에서 7 min으로, 현장체류 + 이송 + 귀소시간은 36 min에서 40 min으로 증가하여 전체 구급 서비스 시간은 COVID-19 발생 이전 39 min에서 발생 이후 42 min으로 3 min 늘어났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보건복지부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진환자 17개 시도 및 검역 발생 현황’과 경기도의 ‘경기도 구급활동 현황’을 이용하여 COVID-19 발생 전후 경기도의 119 구급 서비스 신고 건수와 소요 시간에 나타난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첫째, 119 구급 신고 건수를 COVID-19 발생 전후 1년간을 비교할 때, 694,238건에서 640,938건으로 53,300건 감소하였으며, 일평균 119 구급 신고 건수도 직전 1년간의 1,893.8건에서 1,761.7건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 둘째, COVID-19 발생 전후 1년간 119 신고 접수로부터 구급차의 귀소까지 전체 구급 서비스 시간을 평균으로 보면, 49.12 min에서 55.96 min으로 6.84 min, 중위수로 보면 39 min에서 42 min으로 3 min으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연간 자료인 소방청의 『119 구급 서비스 통계연보』(16)에서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전국 기준의 119 구급 출동건수는 2019년 2,929,994건, 2020년 2,766,136건, 2021년 3,148,956건이었으며, 출동에서 현장 도착까지의 소요된 시간은 5 min 이내인 경우가 2019년 48.3%, 2020년 38.8%, 2021년 31.2%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COVID-19의 전파 과정에서 출동건수로 파악할 수 있는 119 구급 서비스 수요의 증감과 119 구급 서비스의 공급 특성을 반영하는 119 구급 서비스 소요 시간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구급대원의 현장 처치가 이루어지는 현장 도착에서 현장 출발까지의 현장 체류 시간과 현장 출발에서 병원 도착까지의 이송 시간을 분석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둘째, COVID-19 발생 전후 119 신고 건수와 소요 시간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연령, 지역, 질병/사고·중독 등과 같은 119 신고 건수와 소요 시간 변화의 다양한 요인을 고찰하지 못했다. 특히 ‘경기도 구급활동 현황’ 자료만을 이용함으로써 우리나라 전체를 분석 대상으로 하지 못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특정 연구자만이 비공개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제한된 정보보다는 일반인이 인터넷 등을 통해 접근 가능한 자료를 이용함으로써 데이터 공개의 필요성과 공개 데이터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이송 자료뿐만 아니라 미이송 자료를 포함한 119 구급 서비스 전체 데이터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인위적인 데이터 누락이나 제거로 발생할 수 있는 편의성(bias)을 줄였다.
현재 COVID-19의 전파가 지속되고 있으며, 향후 유사한 감염병의 재현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이와 관련된 추가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COVID-19와 같은 감염병이 수반된 사고 또는 질병 등을 보다 세분화하고, 광역시도 또는 시군구 기준의 지역 특성과 가계의 소득 특성 등을 반영한 119 구급 서비스의 신고 및 119 구급 서비스의 소요 시간 분석이 요구된다.

Notes

* 본 연구의 분석 자료는 일반인도 손쉽게 접근하고 이용 가능한 인터넷 공개 데이터(이용 허락 조건: 콘텐츠 변경과 상업적 이용 허용)만을 사용함.

** 현행 ⌈구급활동일지⌋에는 구급 서비스 시간과 관련하여 신고일시, 출동시각, 환자접촉시각(현장도착시각), 현장출발시각, 병원도착시각, 귀소 시각을 기록하도록 되어 있으나, 본 연구에서 이용한 공공데이터포털의 공개된 '경기도 구급활동 현황' 자료에는 현장출발시각과 병원도착시 각이 누락되어 있어 가용 데이터를 최대한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는 구급 서비스 시간을 정의함

References

1.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Director-General's Opening Remarks at the Media Briefing on COVID-19-11 March 2020”,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director-general/speeches/detail/who-director-general-s-opening-remarks-at-the-media-briefing-on-COVID-19---11-march-2020, accessed July 10, 2022.

2. J Choi, H Jung, J. Y Ahn, H. W Ryoo, S Moon, J. W Cho, S. S Kang and J Park, “Analysis of Patient Clinical Characteristics Visiting Single Regional Emergency Department in COVID-19 Pandemic Era:A Before-and-After Observational Stud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Vol. 33, No. 1, pp. 60-68 (2022).

3. M. M Jeffery, G D'Onofrio, H Paek, T. F Platts-Mills, W. E Soares, J. A Hoppe, N Genes, B Nath and et al, “Trends in Emergency Department Visits and Hospital Admissions in Health Care Systems in 5 States in the First Months of the COVID-19 Pandemic in the US”, JAMA Internal Medicine, Vol. 180, No. 10, pp. 1328-1333 (2020), https://doi.org/10.1001/jamainternmed.2020.3288.
crossref pmid pmc
4. H. E Hughes, T. C Hughes, R Morbey, K Challen, I Oliver, G. E Smith and A. J Elliot, “Emergency Department Use During COVID-19 As Described By Syndromic Surveillance”, Emergency Medicine Journal, Vol. 37, No. 10, pp. 600-604 (2020), https://doi.org/10.1136/emermed-2020-209980.
crossref pmid pmc
5. A. W Kam, S. G Chaudhry, N Gunasekaran, A. J White, M Vukasovic and A. T Fung, “Fewer Presentations to Metropolitan Emergency Depart-m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Medical Journal of Australia, Vol. 213, No. 8, pp. 370-371 (2020), https://doi.org/10.5694/mja2.50769.
crossref pmid pmc
6. R. D Mitchell, G. M O'Reilly, B Mitra, D. V Smit, J. P Miller and P. A Cameron, “Impact of COVID-19 State of Emergency Restrictions on Presentations to Two Victorian Emergency Departments”, Emergency Medicine Australasia, Vol. 32, No. 6, pp. 1027-1033 (2020), https://doi.org/10.1111/1742-6723.13606.
crossref pmid pmc
7. N Fagoni, G Perone, G. F Villa, S Celi, P Bera, G. M Sechi, C Mare, A Zoli and et al, “The Lombardy Emergency Medical System Faced with COVID-19:The Impact of Out-of-hospital Outbreak”, Prehospital Emergency Care, Vol. 25, No. 1, pp. 1-7 (2021), https://doi.org/10.1080/10903127.2020.1824051.
crossref pmid
8. E. B Lerner, C. D Newgard and N. C Mann, “Effect of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on the U. S. Emergency Medical Services System:A Preliminary Report”, Academic Emergency Medicine, Vol. 27, No. 8, pp. 693-699 (2020), https://doi.org/10.1111/acem.14051.
crossref pmid pmc
9. Y Igarashi, M Yabuki, T Norii, S Tokobori and H Yokot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Impact of COVID-19 on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s System in Tokyo”, Acute Medicine &Surgery, Vol. 8, No. 1, pp. e709(2021), https://doi.org/10.1002/ams2.709.
crossref pmid pmc
10. P Hagebusch, F Naujoks, H Rouchi, I Schindelin and U Schweigkofler, “Decline in Emergency Medical Service Missions During the COVID-19 Pandemic:Results from the Fifth Largest City in Germany”, Internal and Emergency Medicine, Vol. 15, No. 8, pp. 1609-1611 (2020), https://doi.org/10.1007/s11739-020-02482-1.
crossref pmid pmc
11. I. H Seo and B. G Kim, “Changes in the Activity Times of 119 Ambulance Unit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Fever or Respiratory Symptoms:Comparison Before and After the Pandemic of COVID-19”,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Vol. 33, No. 3, pp. 239-251 (2022).

12. J. R Eskol, F. D Zegers, D Wittrock, A. T Lassen and S Mikkelsen, “Increased Ambulance On-scene Times But Unaffected Response Times During the First Wave of the COVID-19 Pandemic in Southern Denmark”, BMC Emergency Medicine, Vol. 22, No. 1, pp. 1-6 (2022), https://doi.org/10.1186/s12873-022-00623-7.
crossref pmid pmc
13. Y Masuda, S. E Teoh, J. W Yeo, D. J H. Tan, D. L Jimian, S. L Lim, M. E. H Ong, A. L Blewer and et al, “Variation in Community and Ambulance Care Processes for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During the COVID-19 Pandemic: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cientific Reports, Vol. 12, No. 1, pp. 1-15 (2022), https://doi.org/10.1038/s41598-021-04749-9.
crossref pmid pmc
14. K Jang, K Kang, Y Jang and K Hahn, “Analysis of the Time Intervals in 119 Ambulance Services”,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0, No. 4, pp. 128-134 (2016), https://doi.org/10.7731/KIFSE.2016.30.4.128.
crossref
15. Y Kim, Y. Y Kim, H Yeom, J Jang, I Hwang, K Park, Y Park, S Lee, et al; (Data Analysis Team,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and Analysis Task Force, Central Disease Control Headquarters,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COVID-19 1-Year Outbreak Report as of January 19, 2021 in the Republic of Korea”, Public Health Weekly Report, Vol. 14, No. 9, pp. 472-478 (2021).

16. National Fire Agency, “Statistical Yearbook of 119 Ambulance Services in 2022”, Korea, (2022).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Room 906, The Korea Science Technology Center The first building, 22, Teheran-ro 7 Gil, Gangnam-gu, Seoul, Republic of Korea
Tel: +82-2-555-2450/+82-2-555-2452    Fax: +82-2-3453-5855    E-mail: kifse@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