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2. 전산시뮬레이션 방법과 조건
2.1 방법
2.2 조건
Table 1
Case | Fire Source Location | W1 (m) × H1 (m) | W1H13/2 (m5/2) | W2 (m) × H2 (m) | W2H23/2 (m5/2) | Study |
---|---|---|---|---|---|---|
1 | R1 | 0.66 × 0.33 | 0.12 | 0.33 × 0.825 | 0.25 | Present |
2 | 0.66 × 0.52 | 0.25 | 0.33 × 0.825 | 0.25 | ||
3 | 0.33 × 0.825 | 0.25 | 0.66 × 0.33 | 0.12 | ||
4 | 0.33 × 0.825 | 0.25 | 0.66 × 0.52 | 0.25 | ||
5 | R2 | 0.66 × 0.33 | 0.12 | 0.33 × 0.825 | 0.25 | |
6 | 0.66 × 0.52 | 0.25 | 0.33 × 0.825 | 0.25 | ||
7 | 0.33 × 0.825 | 0.25 | 0.66 × 0.33 | 0.12 | ||
8 | 0.33 × 0.825 | 0.25 | 0.66 × 0.52 | 0.25 | ||
9 | R1 | 0.165 × 0.825 | 0.12 | 0.33 × 0.825 | 0.25 | Kim and Lee(16) |
10 | 0.33 × 0.825 | 0.25 | 0.165 × 0.825 | 0.12 | ||
11 | 0.33 × 0.825 | 0.25 | 0.33 × 0.825 | 0.25 | ||
12 | R2 | 0.165 × 0.825 | 0.12 | 0.33 × 0.825 | 0.25 | |
13 | 0.33 × 0.825 | 0.25 | 0.165 × 0.825 | 0.12 | ||
14 | 0.33 × 0.825 | 0.25 | 0.33 × 0.825 | 0.25 |
3. 결과 및 분석
3.1 온도 분포 가시화
Figure 2

3.2 개구부를 통과하는 질량 유량
Figure 4

Figure 5

Figure 6

3.3 연기층 온도 상승
Figure 8

Figure 9

Figure 10

Figure 11

4. 결 론
(1) 온도 분포 가시화 결과, VE2가 일정한 R1 화재 조건에서, VE1 높이가 낮은 조건이 높은 조건에 비해 화재실 내 연기층 두께가 두꺼웠고, R2 화재 조건에서는 VE1 높이가 화재실 내 연기층 두께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였다. VE1이 일정한 R1 및 R2 화재 조건에서, VE2 높이가 낮은 조건이 높은 조건에 비해 화재실 및 인접실 내 연기층 두께가 두꺼운 것으로 관찰되었다.
(2) VE2가 일정한 R1 화재 조건에서, VE1 높이가 낮은 조건이 높은 조건에 비해 화재실 내 연기층 온도 상승이 높았는데, 이는 VE1 높이가 낮은 조건이 VE1을 통과하는 유출 질량 유량이 적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반면, R2 화재 조건에서, VE1 높이가 화재실 내 연기층 온도 상승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3) VE2가 일정한 R1 화재 조건에서, VE1 높이가 낮은 조건이 높은 조건에 비해 인접실 내 연기층 온도 상승이 낮았는데, 이는 VE1 높이가 낮은 조건에서 VE1을 통과하여 R1에서 R2로 유입되는 질량 유량이 적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유사하게, R2 화재 조건에서, VE1 높이가 낮은 조건에서 인접실 내 연기층 온도 상승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VE1 높이가 낮은 조건에서 VE1을 통과하여 R2에서 R1으로 유입되는 질량 유량이 적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4) VE1이 일정한 R1 화재 조건에서, VE2 높이가 화재실 및 인접실 내 연기층 온도 상승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환기 계수가 동일한 R2 화재 조건에서, VE2 높이가 낮은 본 연구가 VE2 높이가 높은 기존 연구(16)에 비해 화재실 및 인접실 내 연기층 온도 상승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화재실 연기층 온도 상승이 높은 이유는 VE2 높이가 낮은 조건에서 VE2를 통과하는 유출 질량 유량이 적기 때문이고, 인접실 내 연기층 온도 상승이 높은 이유는 VE2 높이가 낮은 조건에서 VE1을 통과하여 R2에서 R1으로 유입되는 질량 유량이 많기 때문으로 생각된다.